Python) 자연수 뒤집어 배열로 만들기

난이도 : Level 1
유형 : 연습문제
카테고리 : 프로그래머스
날짜 : 2022-02-08

문제 풀이

앞서 풀었던 문제들과 비슷한 문제 유형이었다.

  1. 정렬을 하기위해 배열 list를 만들어주고, 정수형을 문자열로 변경해주었다.

    1
    list(str(n))
  2. 내림차순으로 배치하기 위해 reversed를 사용했다.

    1
    reversed(str(n))
  3. 문자열이 아닌 정수형 리스트로 변경되어야 하기 때문에, map을 이용해 int형으로 변환해주었다.

    1
    list(map(int, ~)

전체 코드

1
2
def solution(n):
return list(map(int, reversed(str(n))))

reverse() 와 reversed() 차이

list.reverse()

📌 메모리 내의 배열 원소를 직접 수정
📌 반환 값은 None

1
2
3
4
5
6
7
8
9
10
array1 = [1, 5, 3, 9, 7, 2]
array2 = array.reverse()

print("array1이 직접 역순이 됩니다 :",array1)
# 출력값
# array1이 직접 역순이 됩니다 : [2, 7, 9, 3, 5, 1]

print("array2에는 역순된 array가 들어가지 않습니다 :",array2)
# 출력값
# array2에는 역순된 array가 들어가지 않습니다 : None

reversed(list)

📌 반환값이 배열값으로 변수에 저장 가능
📌 원래 변수는 수정되지 않음

1
2
3
4
5
6
7
8
9
10
array1 = [1, 5, 3, 9, 7, 2]
array2 = sorted(array)

print("array1은 역순이 되지 않습니다 :",array1)
# 출력값
# array1은 역순이 되지 않습니다 : [1, 5, 3, 9, 7, 2]

print("array2에는 역순된 array가 들어갑니다 :",array2)
# 출력값
# array2에는 역순된 array가 들어갑니다 : [2, 7, 9, 3, 5, 1]

sort(reverse = True), sorted(reverse = True) 와 reverse(), reversed() 차이

⭐️ (reverse = True) 옵션을 사용한 sort와 sorted는 오름차순으로 정렬 후 내림차순으로 정렬해 주는 것이다.

⭐️ reverse()와 reversed()는 정렬 과정 없이 바로 배열을 반대로 뒤집는 것이다.

Author

Sujeong Kim

Posted on

2022-02-08

Updated on

2022-02-09

Licensed under

댓글